|
|
|
노로바이러스 감염증, 전년 대비 88.5% 증가
□ 질병관리본부(본부장 : 전병율)는 2012년 국내에서 발생한 수인성?식품매개질환 유행 원인균을 조사한 결과 노로바이러스 검출건수가 전년 대비 88.5% 크게 급증하였고, 올해 3월까지 유행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등 노로바이러스 확산방지를 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.
○ 노로바이러스 검출건수 2011년 26건에서 2012년 49건으로 88.5% 급증
□ 또한 국내 실험실 감시 결과 최근 영국, 호주, 일본, 미국 등지에서 보고된 노로바이러스 GII-4 변이주(Sydney-2012)가 국내에서도 발견되고 있으며, 또한 동기간 대비 노로바이러스 검출률이 약 1.4~1.7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. <붙임3, 4> 참조.
□ 아울러 국립보건연구원(원장 : 조명찬)은 변종노로바이러스에 대한 전체 유전자에 대한 추가적 분석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적극적 대응을 위하여 2013년부터 노로바이러스 백신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. <붙임5> 참조. 노로바이러스 특성 및 예방관리 요령
□ 노로바이러스란? ○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바이러스성 위장염으로, 나이와 관계없이 감염될 수 있으며, 전세계에 걸쳐 산발적으로 감염이 발생
□ 감염경로 ○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 또는 물 섭취 ○ 감염자의 대변 또는 구토물
□ 주요 증상 ○ 평균 24시간의 잠복기를 거친 뒤 오심, 구토, 복통 설사증상 발현 ○ 면역은 약 14주간만 지속되므로 재감염도 가능
□ 치료 ○ 수액요법 등 대증치료
□ 예방 및 관리 ○ 소독법 - 가열 : 70℃에서 5분간 가열 또는 100℃에서 1분간 가열 시 완전히 불활성화 - 염소소독
수인성?식품매개체 원인병원체 현황
□ ’12년 국내에서 발생한 수인성?식품매개질환 유행은 282건으로, 전년 동기간 대비 19.5%(’11년 236건) 증가하였음
□ 노로바이러스 유행은 겨울철 11~3월간 발생분율이 높음 o '12년 2월(52.2%), 3월(45.5%), 11월(42.1%) 순으로 높음
□ ’12년 원인병원체가 규명된 151건 중 ‘12년은 노로바이러스 49건(32.5%), 병원성대장균 35건(23.2%) 순으로 높음 o 전년 동기간 대비 노로바이러스는 88.5% 증가하였음
<월별 노로바이러스 유행 현황>
<국내 수인성?식품매개질환 유행의 원인병원체 현황>
※ 중복감염**: 원인병원체가 2개 이상인 경우임 ※ 2012년 원인병원체 현황은 변동가능함
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실험실 감시자료
노로바이러스 GII-4 변이주 분석 자료
□ 국립보건연구원(원장:조명찬)에서 2007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K-CaliciNet(노로바이러스 실시간 유전자분석망)를 통해 2012년 국내 유행하는 노로바이러스주에 대한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60% 이상이 GII-4 형의 노로바이러스로 인해 확인
□ 특히 최근 전 세계적으로 문제시되고 있는 노로바이러스 GII-4 (Sydney-2012 strain) 변이주가 2012년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2012년 4분기 동안 GII-4형의 노로바이러스 중에서 변종바이러스가 67%로 확인됨
□ 질병관리본부는 2008년 5월부터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를 통해 수인성, 식품매개성 설사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바이러스에 대한 양성건수 및 양성률 정보 제공하고 있으며, 본 자료에 따르면 2012-13 동절기 노로바이러스 감염자가 2011-12년 동기간보다 (49주~52주, 4주간) 약 2배 높게 확인되었으며 특히 47-49주 동안은 설사환자 중 50% 이상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됨
※ 출처 :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, 급성감염증 병원체 감시정보
노로바이러스 관련 연구동향 및 향후 계획
○ 현재 K-CaliciNet 운영을 통해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노로바이러스 유전자형 분포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항원성 변이 등 심도 깊은 분석을 위해 노로바이러스 유행주의 캡시드 전체 유전자에 대한 분석이 추가되어야 함
○ 2012년 국립보건연구원(원장:조명찬)은 국제백신연구소와 주요 현안 감염병에 대한 백신공동연구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으며 이에 대한 후속조치로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공동개발을 추진키로 합의함.
○ 국립보건연구원 공공백신연구단 과제로 2013년도 국내·외 유행하는 노로바이러스의 유전자원 확보 및 백신후보주 발굴, 공격접종 모델개발 등을 통한 노로바이러스 백신개발을 위한 연구가 선정되어 향후 3년간 수행할 예정임.
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발췌 |
|
|||
|